2024.05.24 - [오토핫키] - 오토핫키 - 쿠팡 로그인
오토핫키 - 쿠팡 로그인
2024.05.24 - [오토핫키] - 오토핫키 - 키보드 입력 오토핫키 - 키보드 입력2024.05.23 - [오토핫키] - 오토핫키 - 마우스 좌표 지정 오토핫키 - 마우스 좌표 지정2024.05.18 - [오토핫키] - 오토핫키 - 마우스
soloisme.tistory.com
해당 글을 보고 오시면 이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저번 시간에는 매크로를 직접 만들어봤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저번에 활용한 Sleep 즉 딜레이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leep 는 우리가 프로그램에서 딜레이를 줄 때 사용합니다.
딜레이를 왜 줄까요?
이전에 만들었던 프로그램처럼 어떠한 동작을 하는데 너무 빠르거나와 같은 문제로 조금의 시간이 필요 할 때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딜레이는 어떻게 줄까요?
Sleep, Time(ms)
Sleep 는 이렇게 사용합니다.
Time 은 시간을 의미합니다. 얼마나 기다리게 할 것인가 얼마나 멈춰있을 것인가?
근데 뒤에있는 (ms) 는 뭘까요? ms 는 밀리세크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위로 1000ms 는 1초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1초의 딜레이를 주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요?
Sleep, 1000
이렇게 하면 되겠죠?
그렇다면 10초는? 50초는? 100초는 어떻게 할까요?
Sleep, 10000
Sleep, 50000
Sleep, 100000
1초가 1000이기 때문에 10초는 10000, 50초는 50000, 100초는 100000이 될 것 입니다.
딜레이를 주는 방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하지만 딜레이를 무작정 많이 사용하는 것은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딜레이도 하나의 프로그램안에 있는 코드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딜레이를 만나면 완전 정지 상태로 간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딜레이를 많이 사용하게되면 그 많은 시간 만큼 프로그램이 멈춰있게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우리는 이전 시간처럼 딜레이를 사용 해야하는 상황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사용은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 돌아가게 만들기엔 충분할 것 입니다.
다음 시간엔 오토핫키로 다른 프로그램을 여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것을 배우면 이전에 만든 프로그램을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겠죠?
이번 시간도 고생하셨습니다!
'오토핫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핫키 - 메시지박스 ( MsgBox ) (1) | 2024.05.28 |
---|---|
오토핫키 - 프로그램 실행 (0) | 2024.05.27 |
오토핫키 - 쿠팡 로그인 (0) | 2024.05.25 |
오토핫키 - 키보드 입력 (0) | 2024.05.24 |
오토핫키 - 마우스 좌표 지정 (0) | 202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