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의 조건문 (Conditional Statements)
자바에서 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합니다. 이 글에서는 자바의 조건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조건문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흐름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1. if문
if 문은 조건이 참인 경우에만 코드를 실행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조건문입니다.
int number = 10;
if (number > 0) {
System.out.println("양수입니다.");
}
2. if-else문
if-else 문은 조건이 참이면 if 블록을, 거짓이면 else 블록을 실행합니다. 두 가지 경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int number = -5;
if (number > 0) {
System.out.println("양수입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음수이거나 0입니다.");
}
3. if-else if-else문
if-else if-else 문은 여러 조건을 검사하여 해당 조건이 참인 블록을 실행합니다. 여러 가지 경우를 처리할 때 사용합니다.
int number = 0;
if (number > 0) {
System.out.println("양수입니다.");
} else if (number < 0) {
System.out.println("음수입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0입니다.");
}
4. switch문
switch 문은 하나의 변수를 여러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값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합니다. 많은 경우의 수를 처리할 때 유용합니다.
int day = 3;
String dayName;
switch (day) {
case 1:
dayName = "월요일";
break;
case 2:
dayName = "화요일";
break;
case 3:
dayName = "수요일";
break;
case 4:
dayName = "목요일";
break;
case 5:
dayName = "금요일";
break;
case 6:
dayName = "토요일";
break;
case 7:
dayName = "일요일";
break;
default:
dayName = "유효하지 않은 요일";
break;
}
System.out.println(dayName);
결론
이 글에서는 자바의 조건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조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유연하고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자바의 반복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제어문 가이드 - 제어문 (0) | 2024.06.22 |
---|---|
자바 제어문 가이드 - 반복문 (0) | 2024.06.21 |
자바 연산자 가이드 (0) | 2024.06.19 |
자바 변수와 데이터 타입 가이드 (0) | 2024.06.18 |
자바의 기본 문법 가이드 (0) | 2024.06.17 |